공연정보
제목
KNCDC 10th Anniversary 국립현대무용단 10주년 온라인 페스티벌 친하게 지내자
기간
2020-11-16 ~ 2020-11-29
장소
국립현대무용단 YouTube, NAVER TV 외
작품소개
2010년 문을 연 국립현대무용단은 창단 10주년을 맞아 '현대무용과 친해지는 자리'를 마련합니다. 2주간 온라인에서 펼쳐지는 페스티벌을 통해 무용을 즐기는 방식, 창작자와 관객이라는 관계가 서로를 포용하는 방식 등 현대무용을 둘러싼 풍부한 생각들을 함께 나누는 자리입니다.
국립현대무용단 10년 역사를 훑어볼 수 있는 아카이빙 상영작, 무용 움직임을 특별하게 해석할 수 있는 음악+즉흥춤과 로봇춤, 화제작으로 구성된 댄스필름, 현대무용의 역사를 새로운 눈으로 읽어볼 수 있는 아카이빙 전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동영상
동영상
댄스필름

볼레로 만들기 공동연출 김설진 이와
- "'볼레로'를 해체하고 무너뜨리는 것이 진짜 '볼레로'를 만드는 것 아닐까?" 일상의 사운드로 '볼레로의 구조에 접근한 안무를 통해, 일상의 소음이 '볼레로'의 리듬으로 확장된다.
- 11.16(월) 17:00 – 11.19(목) 17:00 72시간 상영

비욘드 블랙 안무 신창호, 영상연출 강승표, 인공지능개발 슬릿스코프
- '인공지능의 무용 안무'라는 새로운 시도를 담은 영상공연. 시간을 축적한 무용수의 몸과,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한 AI를 통해 안무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한다.
- 11.20(금) 17:00 – 11.23(월) 17:00 72시간 상영

때론 지나간 춤은 다른 사람들의 기억 속에 존재했으며 희미해질 때 갑자기 튀어 오른다 출연 최민선, 영상연출 이와
- 국립현대무용단 10년의 역사 속에 존재해 온 무용수이자 안무가 최민선의 10년을 댄스코멘터리 형식으로 연대기적 관점에서 펼쳐보인다. 춤추는 개인의 탈락과 생존을 국가기관의 예술적 가치 추구의 변화와 병치시킨다.
- 11.26(목) 17:00 – 11.29(일) 17:00 72시간 상영
로봇과 춤

입 닥치고 춤이나 춰 연출·음악·로봇안무 권병준
- 자유와 해방을 꿈꾸던 1990년대 클럽, 일정한 테크노 비트에 맞춰 밤새 춤추던 젊은 영혼들이 로봇으로 대체된다. 세기말의 몽환적 분위기는 로봇들의 유려한 움직임을 통해 새로운 판타지로 재탄생한다.
- 상시오픈

재생:능력 안무·연출 예효승
- 상호대체 불가능한 고유성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된 작품. '소프트'와 '하드'의 직관적 대립에서 출발해, 신체를 감싸는 '피부'의 속성을 로봇과의 극단적으로 대비시켜 그 너머의 상상력을 제안한다.
- 11.17(화) 17:00 – 11.20(금) 17:00 72시간 상영

삼물기(三物記) 안무·연출 이민경
- 서로 다른 신체를 가진 삼물 - 인간, 기계, 괴물 - 의 방랑기는 무대의 경계에서 벌어진다. 한 등장인물이 무대를 이탈하면서 이들의 이야기도 극 밖으로 나오게 된다.
- 11.21(토) 17:00 – 11.24(화) 17:00 72시간 상영

풍경 안무·연출 조희경
- 인간 삶의 풍경 안에는 기계도, 인간도 있다. 그리고 우리가 가고 싶은 풍경도 있다. 로봇 기계의 존재와 함께, 인간 삶의 풍경 조각들을 잠시 바라본다.
- 11.25(수) 17:00 – 11.28(토) 17:00 72시간 상영
음악+즉흥춤

비접촉즉흥 출연 김건중 안영준 이윤정 장경민, 음악 폴라프런트
- 하이테크 테크노를 중심으로 한 언더그라운드 음악 DJ 폴라프런트가 함께한다. 비접촉 즉흥을 주축으로 시간성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접촉만을 허용한다.
- 11.18(수) 17:00 – 11.21(토) 17:00 72시간 상영

Hiding Place 출연 밝넝쿨 이소영 정서윤 홍지현, 음악 타무라 료
- 자연 속 인간의 존재를 통해 대비적으로 강조되는 자연과 인위의 경계를 그린다. 일본 출신의 타악 연주자이자 사운드 아티스트 타무라 료의 음악이 함께한다.
- 11.22(일) 17:00 – 11.25(수) 17:00 72시간 상영

세 가지 각 출연 구은혜 이세승 이인수, 음악 이일우
- 음악과 춤과 공간이 어우러진 댄스필름. 전통음악과 프리재즈, 포스트록, 펑크와 메탈이 뒤섞인 음악을 선보이는 잠비나이 출신의 이일우가 참여한다.
- 11.26(목) 17:00 – 11.29(일) 17:00 72시간 상영
아카이빙 공연
국립현대무용단에서 지난 10년 간 올린 공연 중 선별하여 실황 공연 영상을 상영합니다

검은 돌: 모래의 기억 안무 안성수, 작곡·음악감독 라예송
- 안성수 안무가의 탐미주의가 발현된 작품. 무용수 본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해 몸의 언어와 음악 사이의 합일점을 찾아가는 여정을 몸짓으로 풀어낸다.
- 11.16(월) 17:00 – 11.17(화) 17:00 24시간 상영
- 11.28(토) 17:00 – 11.29(일) 17:00 24시간 상영

마우싱 안무 루이자 코르테시
- 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넘나들며 상상과 기억의 집합소로서의 몸을 다룬다. 인터넷에서 클릭 한번이면 어느 곳으로든 이동하듯이, 마우스를 클릭하는 동작은 가상 세계로 넘어가는 매개로 작용한다.
- 11.16(월) 17:00 – 11.17(화) 17:00 24시간 상영
- 11.26(목) 17:00 – 11.27(금) 17:00 24시간 상영

철저하게 처절하게 안무 김보람, 편곡 박용빈
- 인간이 가진 “표현의 기원”에 접근하는, 해체와 재조립의 볼레로다. 원곡의 리듬과 선율을 재조립해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철저한 움직임과 살아남기 위한 인간의 처절한 몸부림을 펼친다.
- 11.16(월) 17:00 – 11.17(화) 17:00 24시간 상영
- 11.28(토) 17:00 – 11.29(일) 17:00 24시간 상영

공일차원 안무 안애순 음악 장영규
- 자본주의 현실에 지친 사람들이 자기가 만든 가상세계를 통해 영웅을 찾는다는 내용을 담은 작품. 고도로 발전된 시대를 살고 있음에도 노동과 생존의 문제가 지속적인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아이러니를 다룬다.
- 11.17(화) 17:00 – 11.18(수) 17:00 24시간 상영
- 11.27(금) 17:00 – 11.28(토) 17:00 24시간 상영

슈팅스타 안무 로렁스 야디&니콜라 껑띠용, 음악 블랙스트링
- 한 무리의 별로 표현되는 무용수들, 별과 UFO를 찾으며 보낸 가장 아름다운 밤, 꿈결 같은 명암이 대비되던 밤에 대한 해석. 두 안무가는 지극히 컨템퍼러리하면서도 분명한 개성이 담긴 연속 스텝의 총체를 고안한다.
- 11.17(화) 17:00 – 11.18(수) 17:00 24시간 상영
- 11.27(금) 17:00 – 11.28(토) 17:00 24시간 상영

왓 어바웃 러브 안무 조엘 부비에
- 누벨 당스를 이끈 대표적인 안무가 조엘 부비에가 한국 무용수들과 만들어낸 각양각색의 사랑 이야기. 단순함과 성숙함, 유치함과 진지함, 고독과 열정을 오가는 다양한 사랑을 펼쳐보인다.
- 11.18(수) 17:00 – 11.19(목) 17:00 24시간 상영
- 11.23(월) 17:00 – 11.24(화) 17:00 24시간 상영

홍승엽 안무작 하이라이트 안무 홍승엽
- 초대 예술감독 홍승엽의 안무작 '개와 그림자' '호시탐탐' '수상한 파라다이스' '벽오금학' '아Q' '말들의 눈에는 피가' 등 주요작품을 한눈에 볼 수 있는 하이라이트 상영
- 11.18(수) 17:00 – 11.19(목) 17:00 24시간 상영
- 11.26(목) 17:00 – 11.27(금) 17:00 24시간 상영

나티보스 안무 애슐린 파롤린
- 함께 무언가를 창조해내려는 사람들의 만남에 대한 작품. 문화 속의 인간들 사이의 관계에 대한 것이자, 전통과 현대에 관한 것이며, 다른 문화로부터 온 누군가가 당신의 문화를 밖에서 안으로 들여다보는 것에 관한 것.
- 11.19(목) 17:00 – 11.20(금) 17:00 24시간 상영
- 11.22(일) 17:00 – 11.23(월) 17:00 24시간 상영

증발 안무 이디트 헤르만
- 만화 속에서나 볼 수 있을 듯한 무용수들의 캐릭터, 의상, 소품, 분장이 시각적 즐거움을 자아내고, 서로 연관성이 없어 보이는 캐릭터 간의 듀엣과 군무장면은 역설적인 유머를 선사한다.
- 11.19(목) 17:00 – 11.20(금) 17:00 24시간 상영
- 11.28(토) 17:00 – 11.29(일) 17:00 24시간 상영

버자이나의 죽음 안무 서영란
- 원시신화에서 사라진 '여신성'의 목소리에 주목해, 역사적 사건 속에서 그 목소리가 바뀌어 온 과정을 살핀다. 주술사회에서 신비롭고도 주요한 힘을 발휘했던 여신성과 현대 여성들의 이야기를 연결시킨다.
- 11.20(금) 17:00 – 11.21(토) 17:00 24시간 상영
- 11.24(화) 17:00 – 11.25(수) 17:00 24시간 상영

오버 더 월 안무 조형준
- '벽'에 대한 탐구에서 출발하여 신체의 움직임으로 이루어지는 공간 지각에 대한 퍼포먼스다. 물리적인 실체로서의 벽 앞에 놓이는 것을 시작으로 경험, 사건 등에 의하여 지각되고 표출되는 현상에 집중한다.
- 11.20(금) 17:00 – 11.21(토) 17:00 24시간 상영
- 11.23(월) 17:00 – 11.24(화) 17:00 24시간 상영

데우스 엑스 마키나 안무 정세영
- 비합리적이고 시대착오적인 것으로 여겨지는 통속적인 연출기법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현대적으로 변용한다. 이를 통해 극장이 완전히 환영에서 벗어나 실재에 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질문한다.
- 11.21(토) 17:00 – 11.22(일) 17:00 24시간 상영
- 11.25(수) 17:00 – 11.26(목) 17:00 24시간 상영

혼구녕 안무 임진호
- 전통 상례 속에서 엿보이는 죽음을 대하는 온갖 당혹감과 모순된 태도들에 대한 관찰을 토대로 한 작품. 죽음의 경계 주변을 떠도는 산 자와 죽은 자들의 카오스를 그로테스크하게 과장된 유희와 상상으로 풀어낸다.
- 11.21(토) 17:00 – 11.22(일) 17:00 24시간 상영
- 11.24(화) 17:00 – 11.25(수) 17:00 24시간 상영

시간은 두 자매가 사는 서쪽 마을에서 멈추었다 안무 정영두
- 이집트 신화 속 여신 하토르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국 전통 상례와 제례의식에서 얻은 영감을 결합해 만든 작품. 이와 함께 라벨의 현악 4중주를 분석해 여러가지 안무 형식을 탐구한다.
- 11.22(일) 17:00 – 11.23(월) 17:00 24시간 상영
- 11.25(수) 17:00 – 11.26(목) 17:00 24시간 상영
디지털 아카이브: 매일현대무용
큐레이터 박재용

- 국립현대무용단 창단 10주년을 기념하는 모바일 웹사이트. 1960년대부터 무용단 창단 전까지 일간지에서 다룬 현대무용에 대한 보도를 아카이빙한 '매일현대무용', 국립현대무용단의 10년 타임라인을 살펴보는 '무용단의 시간', 무용가와 안무가, 비평가가 함께 쓴 (알아두면 좋을지 모르는) '현대무용 백과사전 '20'(공동 집필: 김건중, 박재용, 조형빈, 최민선, 허영균)을 선보인다. 10years-of-kncd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