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연안내 헤더.jpg
코레오 커넥션

지역상생 프로젝트

지역상생 프로젝트 코레오 커넥션
제목 지역상생 프로젝트 코레오 커넥션
기간 2025-09-06 ~ 2025-09-06
시간 토 2PM · 7PM
장소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예술극장 극장2
가격 전석 18,000원
관람등급 7세 이상
문의 02-3472-1420

현대무용 생태계의 균형적인 성장을 위해 창작자들을 발굴하고

자생적 창작 환경을 구축하는 프로젝트 코레오 커넥션

 

사라진 초상(The Lost Portrait)

안무 | 기은주

<사라진 초상>은 개인과 사회가 겪는 상실에 대한 이야기이다. 시간은 쉬지 않고 흐르고, 현재는 지금을 상실한 채 과거의 무덤 속에 묻힌다. 현실과 가상의 경계에서 길을 잃은 인간의 자아는 복제되거나 소외되며 이미지와 환상을 틈에서 점점 희미해져 간다. '나는 누구인가? 우리는 지금 어디에 있는가?' <사라진 초상>은 이 질문으로부터 출발하여 신체의 일부처럼 자리 잡은 스마트 기기와 넘쳐나는 디지털 플랫폼 속 우리는 실재를 망각한 채 가상 현실에 빠진 경계에서 흐릿해져 가는 자아를 이야기한다. 

안무가의 시선을 통해 낯설게 바라본 극장은 새로운 의미를 가지며 개인으로부터 출발한 이야기는 점차 우리 모두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확장된 상실에 대한 단상은 존재의 공간인 무대 위에서 서사적으로 연결된다. 고유한 미와 의미를 지닌 '몸'을 기억의 공간으로 바라보며, 우리가 잃어버린 것들에 대해 되돌아보는 과정을 통해 마음의 평화를 되찾고 다시 앞으로 나아갈 힘을 얻기를 바란다. 

 

사랑의 형태

안무 | 김현재

 <사랑의 형태>는 사랑을 인간 존재의 핵심으로 바라보는 것에서 시작한다. 여기서 사랑은 단순히 달콤하거나 아픈 감정에 머무르지 않는다. 감정의 차원을 넘어 우리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끊임없이 움직이게 하는 근본적인 에너지로 작용한다. 

<사랑의 형태>는 사랑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흐른다는 사실을 몸의 감각을 통해 탐구한다. 몸을 통해 사랑이 만들어내는 내면의 진동을 드러내고 그 진동이 나의 어떤 조각들을 흔들고 있는지를 응시한다. 바라보는 이는 자신만의 사랑의 형태를 떠올리고, 그 사랑들이 지금의 '나'를 어떻게 만들어왔는지를 자연스럽게 마주하게 된다. <사랑의 형태>는 사랑에 대한 하나의 고백이자 동시에 나를 이루는 자아의 조각들을 꺼내어 들여다보는 시간이다.

 

두 겹의 몸

안무 | 안선희

살의 질감과 뼈의 형태, 체온의 차이와 땀의 농도에 접속한다. 그곳에서 들려오는 시간의 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뒤틀린 움직임, 휘어진 숨, 반응하고 반응되는 관계의 연쇄 속에서 불안으로 녹아내린 몸의 파편들이 떠오른다.  그곳에서 불현듯 발견되는 몸의서사. 나의 몸과 타인의 몸에 같은 듯 다르게 새겨진 시간의 흔적들이 터치하는 바로 그 순간 몸은 삶의 은유로 발견된다. 

<두 겹의 몸>은 어느새 분리 불가능한 상태가 되어 삶을 잠식해온 우리의 몸을 '기능과 구조'라는 물리적 층위와 '은유'라는 감각적 층위로 분리해 바라보며 두 겹 사이의 관계성을 탐색한다. 

내 몸은 무엇을 통해 변형되어왔는가? 변형의 결과로서 지금 내게 주어진 이 몸은 어떤 상태인가? 그리고 앞으로 나는 이 몸과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어떻게 해야 내 몸과 잘 살아갈 수 있을까?

<두 겹의 몸>은 몸의 어제와 오늘을 매개로 몸이 지향하는 궁극적인 내일을 그려보며 관객을 치유와 제의의 장으로 초대한다. 

2024시즌포스터



안무
기은주
기은주

기은주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실기과 예술전문사를 졸업한 후 2017년 제주로 이주하여 무용 예술교육과 공연예술 활동을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몸의 고유성과 공간의 의미, 장소성을 확장하는 작업을 지향하며 주로 즉흥춤을 기반으로 다양한 연령과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하는 ‘무용 알기’ 작업을 통해 경계를 흐리고 춤의 영역을 확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무용 확장 프로그램을 제안하며 무용전문 교육공간 ‘탄츠하우스 인 제주’와 예술단체 ‘무용다방(無用多方)’의 대표를 맡고 있다. 또한 제주국제무용제 조직위원회 이사로 활동 중이다. 대표적인 안무작으로는 2024 제주문화예술재단 창작지원작 <舞草(무초)>, 2024 제주문화예술재단 창작지원작 <상실의 시대 part3. 爲美>, 2023 제주문화예술재단 창작지원작 <나.그.네>, 2022 제주문화예술재단 창작지원작 <獨舞家(독무가)> 등이 있으며, 주제를 무용극화하여 관객과 소통하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안무

 

김현재
김현재

김현재는 ‘인간은 무엇으로 움직이는가, 인간의 무엇으로 변화하는가’와 같은 철학적 질문에 대한 탐구와 실험적인 프로젝트를 작업해 왔다. 이번 지역상생 프로젝트 ‘코레오 커넥션’에서는 사랑의 형태를 주제로 다루며, 사랑이 인간 존재와 진화의 핵심 요소임을 조명한다. 단순한 감정을 넘어 다양한 관계 속에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으로서의 사랑을 탐구하며 움직임을 통해 다양한 사랑의 형태와 관계의 본질을 감각적으로 풀어낸다. 조선대학교 체육학 이학박사를 취득하고, 동 대학교 공연예술무용과 초빙객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적인 안무작으로는 2022 KOCACA 방방곡곡 우수공연 초청작 , 2023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레지던시 작품 <잠식된 방> 등이 있으며 PRESENT DANCE COMPANY 대표로서 광주를 기반으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안무

 

정진아
안선희

안선희는 신체와 공간의 경계를 확장하며 새로운 움직임 언어를 탐구하는 안무가로, 몸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부산대학교 무용학과 강사로 출강 중이며, 한국현대무용협회 이사를 겸임하고 있다. 2016년 한국춤비평가상 춤 연기상과 제27회 부산무용제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2018년 부산국제무용제 AK21 국제안무가 육성공연에서 <전설이 된 움직임>으로 최우수상을 받았다. 이 작품은 2019년 MODAFE 국내 초청작으로 선정되었고, SCF 서울국제안무페스티벌을 통해 미국, 러시아, 슬로베니아, 에스토니아 등 4개국에 초청되었다. 대표적인 안무작으로는 <전설이 된 움직임>, <파라다이스>, <원>, <몸>, <시선> 등이 있으며 부산을 중심으로 활발한 창작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제작진
사라진 초상
 
안무 기은주
리허설디렉터 정윤정
출연 강한나 김동일 김시현 김지형 문형수 이지혜
사운드디자인 RAINBOW99
영상디자인 언디파인드
의상디자인 김은경
 
사랑의 형태
 
안무 김현재
출연 김민경 김영채 문경재 문주현 이효성
작곡 임주신
무대디자인 김종석
의상디자인 민천홍
 
두 겹의 몸
 
안무 안선희
리허설 디렉터 신승민
출연 안선희 이언주 이혜리 최혜빈
작곡·음악감독 유지완
무대디자인 황효균
의상디자인 정호진
드라마투르그 손옥주
 

 

 

 

조명디자인 류백희
제작무대감독 조은진
음향감독 안형록
맨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