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정보
작품소개
국립현대무용단 김성용 예술감독 신작 <크롤(Crwal)>과 동시대 가장 혁신적인 안무가 윌리엄 포사이스의 <하나의 편평한 것, 복제된(One Flat Thing, Reproduced)>의 더블 빌 무대!
김성용 예술감독 신작 <크롤>은 안무가의 움직임 방법론인 ‘프로세스 인잇’을 바탕으로 2년여 동안 호흡을 맞춘 〈정글〉의 프로세서들이 다시 함께한다. 한편, 윌리엄 포사이스의 대표작이자 네덜란드 댄스 시어터, 퍼시픽 노스웨스트 발레단, 베를린 슈타츠 발레단 등에서 레퍼토리로 공연된 바 있는 <One Flat Thing, Reproduced>는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한국 무용수 19명과 함께 국내 최초로 역사적인 무대를 선보인다.

크롤(Crawl) 안무_김성용
<크롤>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노력, 버티고 나아가는 힘, 그 속에서 일렁이는 수많은 감정을 상징한다. 작품을 통해 감정의 외형을 보여주는 것이 아닌, 그 근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마크 로스코가 색과 면으로 보여주는 깊이를 우리는 움직임의 선과 시공간의 점유를 통해 보여줄 것이다. 관객은 ‘설명되지 않은 감정’과 마주하고, 자신 안의 본질적 울림을 조우하게 될 것이다.
수십 개의 금속 테이블 사이를 쉼 없이 가로지르며 만들어내는 격렬하고도 위태로운 움직임 속에서 <One Flat Thing, reproduced>(2000)은 대위법적 구조를 시각적으로 탐구하는 윌리엄 포사이스의 지속적인 안무 연구법을 드러낸다. '개별 무용수의 고유한 움직임','무용수 간의 직관적이고 섬세한 큐 주고받기' 그리고 '복잡하게 얽힌 움직임의 배열'이라는 세 가지 조직 시스템이 서로 맞물려 작동하며 마치 정교한 무대 장치처럼 구성된다. 무용수의 동선은 테이블이라는 물리적 구조로 인해 엄격하게 제한되지만, 이러한 제약은 오히려 공간 위·아래·사이로 펼쳐지는 다층적인 움직임의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제한된 공간 안에서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교차하는 유기적인 움직임의 조율을 만들어낸다.
출연진/제작진
안무
.jpg)
“무용은 말로 할 수 없는 말이다”라는 철학을 가진 김성용 단장은 ‘가장 진실한 표현도구’로서의 춤을 추구하며, 무엇보다 솔직하게 표현되어야 하는 예술임을 강조한다. 말로는 도저히 표현되지 않는 것들을 움직임으로 구현해내는 그에게 안무작업은 늘 새로움의 보고 속에서 표현하고 싶은 것들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그가 개발한 ‘감각과 반응’에 집중한 무브먼트 리서치 ‘Process init’은 이런 그의 작업과정을 더욱 공고히 한다. 비정형적이면서도 창의적인 움직임을 이끌어내는 ‘Process init’을 통해 그의 안에 들어온 예술적 영감은 무대 위에 가시적인 형태로 구체화된다. 무용수에서 안무가로, 행정가로 자신의 독자적인 노선을 구축하고 있는 김성용 단장은 그간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젊고 창의적인 리더십과 한국의 현대무용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이끌어주길 바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Photo ⓒJulian Gabriel Richter
윌리엄 포사이스는 50여 년간 안무 분야에서 활동하며, 발레를 고전 레퍼토리에 한정된 형식에서 21세기적 역동성을 지닌 예술로 재정립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조프리 발레단(Joffrey Ballet)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Stuttgart Ballet)에서 무용수로 활동하였으며, 1976년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상주 안무가로 임명되었다. 1984년부터는 프랑크푸르트 발레단을 20년간 이끌었고, 이후 2015년까지 포사이스 컴퍼니(The Forsythe Company)를 창단 및 운영하였다. 안무의 근본적 조직 원리에 대한 깊은 탐구를 이어온 그는 설치, 영화, 웹 기반의 지식 창작 등 무대를 넘어서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선보여왔다. 그의 무대 작품들은 오늘날 전 세계 주요 발레단의 레퍼토리에 자리하고 있으며, 설치 작업 역시 세계적인 미술관과 전시에서 소개되고 있다. 포사이스는 베니스 비엔날레 황금사자상과 독일 연극상 파우스트 평생공로상 등 수많은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하였으며, 2024년 11월에는 교토상을 수상하며 세계 무용계에서의 위상을 다시금 입증한 바 있다.
출연 크롤
강성룡
김민아
김윤미
김윤현
양지연
유다정
이경엽
이지수
정재우
천영돈
최연진
하지혜
홍지현
출연 하나의 편평한 것, 복제된
고동훈
권재헌
기자욱
김건
김수인
김예은
김은서
김희준
박세진
서보권
서정빈
송승욱
이준석
정건
조선재
프리실라 찬
하연주
한규은

